2) Tech

5. (Matlab) 알아두면 유용한 매트랩, 행렬 인덱스(indexing)

Technical_Supporter 2020. 3. 16. 00:05
반응형

안녕하세요!

 

4번째 게시물에 이어서! 행렬의 Indexing(인덱싱)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.

 

2. Row-Column Indexing : 행 인덱스, 열인덱스

- matrix indexing 

먼저 행렬을 하나 생성해봅시다.

 

A = magic(3);      //3x3 마방진행렬,  행렬 생성함수는 여기서 봅시다! -> CLICK!(행렬생성 함수 게시물)

 

 

 

2-1. 행 인덱스, 열 인덱스 입력하여 특정 원소접근 하기!

 

행렬 A에 접근하기 위해선 ( )를 이용하면 되는데요.

 

A(접근 행, 접근 열)

 

A( , ) 콤마로 행과 열 구분! 이것만 기억하시면

 

행렬의 행과, 열 원소에 인덱싱이 가능합니다.

 

즉 행렬 A에 7이라는 원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7의 위치인 2행, 3열을 확인하면 되겠죠?!


x = A(2,3);     // A의 2행, 3열 접근

 

몇가지 예를 더 봅시다!


x = A(3,1);      // 행렬 A의 3행, 1열 Indexing

 

A(3,2) = 10;     //  행렬 A 3행, 2열 값 10으로 변경

 

행렬 인덱싱

 

행 벡터로 추출

 

-> 행 인덱스 고정, 열 인덱스 변경으로 특정 행의 값들로 벡터를 구성하게됩니다.

 

y = A(1, [2,3]);        // 행렬 A 1행 2열,3열의 값들을 인덱싱, 즉, y = [A의 1행 2열, A의 1행 3열] 

 

y = A(1, 2:3);          // A(1, [2,3])과 같은 표현!

 

y = A(1, [1, 1, 3]);    //  y = [1행 1열, 1행 1열, 1행 3열]

 

y = A(2, 1:end);       //  A의 2행 1열~끝열 까지 추출!  즉, 2행 전부 추출

 

행벡터로 추출

 

열 벡터로 추출

 

-> 열 인덱스 고정, 행 인덱스 변경으로 특정 열의 값들로 벡터를 구성하게됩니다.


y = A(1:2, 3);      //  A의 1~2행에 속하는 3열의 값들    

 

열벡터로 추출

 

이렇게 행렬의 Row - Column 접근하여 Indexing을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!!

 

직접 실행하시면 더욱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실거에요!!

 

읽어주셔서감사합니다!!

 

 

반응형